본문 바로가기

실업급여 계산법 총정리|2026년 지급액·기간·상한액 기준표

HIBO 2025. 11. 2.

2026년 실업급여 계산법, 지급액 기준, 수급기간별 금액표 완벽정리

2026년부터 실업급여 지급 상한액이 상향되고, 근속기간에 따른 지급일수 기준표도 일부 조정되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실업급여 계산 공식, 상한·하한액, 수급기간표

를 예시와 함께 정리해드립니다.

 실업급여 계산 공식

실업급여는 퇴사 전 평균임금의 60%를 기준으로 계산됩니다.

계산 공식:
1일 지급액 = 퇴직 전 평균임금 × 60%
단, 1일 지급액은 상한액 및 하한액 기준 내에서 조정됩니다.

예를 들어, 최근 3개월간 평균임금이 월 270만원이라면,

  • 270만원 ÷ 30일 = 1일 평균임금 90,000원
  • 90,000원 × 60% = 1일 지급액 54,000원
  • 150일 수급 시 총 지급액 = 54,000원 × 150 = 810만원

※ 단, 상한액·하한액 규정에 따라 실제 수령액은 달라질 수 있습니다.

 2026년 실업급여 상한액·하한액 기준

구분 2025년 2026년 비고
1일 상한액 70,000원 75,000원 5천원 인상
1일 하한액 66,000원 최저임금의 80% 자동연동 방식
지급비율 평균임금의 60% 동일 -

즉, 실업급여는 최소 80%~최대 100% 범위의 생활임금이 보장됩니다.

 근속연수별 실업급여 지급기간

근속연수 30세 미만 30~49세 50세 이상·장기근속자
1년 미만 120일 120일 150일
1~3년 150일 180일 210일
3~5년 180일 210일 240일
5년 이상 210일 240일 270일

💡 50세 이상 또는 장기근속자의 경우 기본 기간보다 30일이 더 연장됩니다.

 실업급여 계산기 활용방법

고용보험 공식 홈페이지에서는 개인별 예상 지급액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1. 고용보험 홈페이지 접속 → www.ei.go.kr
  2. [실업급여 모의계산] 메뉴 선택
  3. 평균임금·근속기간 입력 후 결과 확인

💡 자동 계산 결과에는 실제 구직활동 차수별 인정 기간이 반영되므로,

실제 지급액과 큰 차이 없이

참고 가능합니다.

 실업급여 지급 중 유의사항

  • 구직활동 미인정 시 해당 회차 급여 미지급
  • 아르바이트·단기취업 발생 시 즉시 신고 의무
  • 부정수급 시 전액 환수 + 과태료 최대 5배
  • 정당한 구직활동 증빙은 반드시 보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