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대전 미래두배 청년통장 선정기준과 우대조건 | 지원금과 가점 총정리
🏆 “대전 미래두배 청년통장, 신청은 했는데 어떻게 선정될까?”
신청자격만 맞는다고 모두 선정되는 건 아닙니다.
2025년에는 경쟁률이 높아지면서 선정기준과 우대조건이 명확해졌죠.
오늘은 대전 미래두배 청년통장의 선정기준, 지원 혜택, 지급 방식을 공식 기준으로 정리했습니다.
선정기준
대전 미래두배 청년통장은 자격심사형 선발제입니다.
즉, 선착순이 아니라 조건에 따라 점수로 평가 후 선발됩니다.
심사 항목은 다음과 같습니다 👇
- 소득 수준 (50점) : 건강보험료 기준 중위소득 140% 이하일수록 가점
- 거주 기간 (20점) : 대전시 거주 기간이 길수록 우대
- 연령 (15점) : 만 30~39세 청년에게 가점 부여
- 근로형태 (10점) : 정규직 또는 자영업자 우대
- 기타 요건 (5점) : 한부모·다자녀 가구 우대
📌 동점자 발생 시, 소득이 낮은 순 → 거주 기간 → 나이 순으로 최종 선정됩니다.
지원 혜택
선정된 참여자는 매달 15만 원씩 저축하며, 대전시가 동일 금액 15만 원을 추가로 매칭 적립합니다.
2년간 납입 시 본인 저축 360만 원 + 시 지원금 360만 원 + 이자로 총 약 720만 원을 수령할 수 있습니다.
또한, 참여자 전원은 2년간 자립역량교육·금융컨설팅을 이수해야 하며, 이 교육 이수 시 추가 우대점수와 인증서가 발급됩니다.
지급 방식
- 매월 지정은행(하나은행)을 통해 자동이체로 납입
- 대전시는 같은 금액을 동일 계좌에 적립
- 만기 시, 원금 + 지원금 + 이자 합산 수령
💡 중도해지 시에는 시 지원금이 환수되며, 자립역량교육 미이수 시 일부 지원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우대 혜택 및 가점 항목
아래 조건에 해당하면 가점이 부여됩니다 👇
- 한부모 가정 (가점 3점)
- 다자녀 가구 (자녀 2인 이상, 가점 2점)
- 장기 거주 청년 (대전 5년 이상, 가점 3점)
- 사회복지시설 근무자 (가점 2점)
이러한 가점은 신청서 작성 시 자동 반영되며, 서류 심사 과정에서 증빙자료를 제출해야 인정됩니다.
참고: 중도해지 시 유의사항
- 저축 중단 또는 미납 3회 이상 시 지원 종료
- 중도해지자는 차기년도 재신청 불가
- 허위서류 제출 시 즉시 취소 및 지원금 환수
'저축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 희망저축계좌2 후기|3년 유지로 700만원 모은 현실 노하우 (0) | 2025.10.16 |
|---|



댓글